본문 바로가기

위정척사운동15

한능검 기출문제 : 근대 > 위정척사운동 015 횡풀종풀 시대별 목차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근대 > 개화정책과 반발 > 위정척사운동 다음과 같은 대외 인식을 지닌 세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 [1점] ① 문명개화론에 사상적 바탕을 두었다. ② 흥선 대원군의 대외 정책을 지지하였다. ③ 박규수의 영향을 받은 양반 자제들이 많았다. ④ 일본에 조사 시찰단으로 가서 선진 문물을 견학하였다. ⑤ 개화 정책을 담당하는 통리기무아문의 설치를 주장하였다.더보기정답 ② * 이항로의 척화주전의 상소 * 화서집- 조선 고종 때 이항로의 시문집 1. 3.4.5-> 개화파 2. 위정척사파 오 · 탈자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. 2020. 12. 7.
한능검 기출문제 : 근대 > 위정척사운동 014 횡풀종풀 시대별 목차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근대 > 개화정책과 반발 > 위정척사운동 (가)~(다)의 주장들을 제기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? [3점] ① (가) - (나) - (다) ② (가) - (다) - (나) ③ (나) - (가) - (다) ④ (나) - (다) - (가) ⑤ (다) - (나) - (가)더보기정답 ④ (가) 이만손영남만인소 1881년 (나) 이항로 척화주전 상소 1866년 (다) 최익현 개항반대상소(왜양일체론)1876년 순서는 항최만, 오 · 탈자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. 2020. 12. 6.
한능검 기출문제 : 근대 > 위정척사운동 013 횡풀종풀 시대별 목차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근대 > 개화정책과 반발 > 위정척사운동 다음 상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 [2점] ① 미국과의 통상 수교를 반대하였다. ② 의회 설립과 자유 민권을 주장하였다. ③ 문벌 폐지와 인민 평등권의 확립을 촉구하였다. ④ 폐정 개혁안 실천을 위해 집강소 설치를 요구하였다. ⑤ 조선의 주권을 지킬 방법으로 중립화론을 제안하였다.더보기정답 ① * 이만손, 영남만인소 2. 독립협회 3. 갑신정변 4. 동학농민운동 5. 부들러, 유길준 오 · 탈자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. 2020. 12. 6.
한능검 기출문제 : 근대 > 위정척사운동 012 횡풀종풀 시대별 목차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근대 > 개화정책과 반발 > 위정척사운동 다음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 [2점] ① 중추원 고문으로서 자주 독립을 강조하였다. ② 대동강에 침입한 제너럴 셔먼호를 불태웠다. ③ 고종의 밀지를 받아 독립 의군부를 조직하였다. ④ 지부복궐척화의소를 올려 왜양일체론을 주장하였다. ⑤ 13도 창의군을 지휘하여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였다.더보기정답 ④ * 최익현 1. 서재필 2. 박규수 3. 임병찬 5. 이인영 오 · 탈자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. 2020. 12. 6.
한능검 기출문제 : 근대 > 위정척사운동 010 횡풀종풀 시대별 목차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근대 > 개화정책과 반발 > 위정척사운동 (가), (나)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 [3점] ① (가) - 일본의 개항 요구에 반대하였다. ② (가) - 미국과 외교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. ③ (나) -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반대하였다. ④ (나) - 청의 간섭을 벗어나기 위해 러시아와의 교섭을 건의하였다. ⑤ (가), (나) - 조선의 독자적인 영세 중립국 선언을 제시하였다.더보기정답 ② 1. 1870년대 최익현 3. 독립협회 4. 갑신정변 이후 정부의 정책 5. 유길준 과 부들러 오 · 탈자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. 2020. 12. 6.
한능검 기출문제 : 근대 > 위정척사운동 011 횡풀종풀 시대별 목차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근대 > 개화정책과 반발 > 위정척사운동 다음 상소가 올려진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? [2점] ① (가) ② (나) ③ (다) ④ (라) ⑤ (마)더보기정답 ③ * 최익현의 흥선대원군 하야상소 * 호포제는 흥선대원군이 실시 * 수신사 파견은 고종의 개화정책 오 · 탈자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. 2020. 12. 6.
한능검 기출문제 : 근대 > 위정척사운동 009 횡풀종풀 시대별 목차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근대 > 개화정책과 반발 > 위정척사운동 (가)~(다) 주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[3점] ① (가)-이항로와 기정진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. ② (가)-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뒷받침하였다. ③ (나)-강화도 조약의 체결에 반대하였다. ④ (나)-단발령과 을미사변을 계기로 제기되었다. ⑤ (다)-조선책략의 유포로 인해 일어났다.더보기정답 ④ (가) 1860 이항로 척화주전론 (나) 1870 최익현 왜양일체론 (다) 1880 이만손 영남만인소 4. 1895년. 시기상 맞지 않는다. 오 · 탈자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. 2020. 12. 6.
한능검 기출문제 : 근대 > 위정척사운동 008 횡풀종풀 시대별 목차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근대 > 개화정책과 반발 > 위정척사운동 (가), (나) 인물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? [2점] ① (가) - 대동강으로 침입한 제너럴 셔먼호를 불태웠다. ② (가) - 북학의를 저술하여 청의 문물 수용을 주장하였다. ③ (나) - 대한 광복회를 조직하여 친일 부호를 처단하였다. ④ (나) - 조선책략 유포에 반발하여 영남 만인소를 주도하였다. ⑤ (가), (나) - 통상 개국론을 통해 문호 개방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.더보기정답 ① * 가- 박규수 나- 최익현 2. 박제가 3. 박상진 4. 이만손 5. 박규수 오 · 탈자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. 2020. 12. 6.
한능검 기출문제 : 근대 > 위정척사운동 006 횡풀종풀 시대별 목차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근대 > 개화정책과 반발 > 위정척사운동 다음 책이 유포된 이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? [2점] ① 이만손 등이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. ② 김기수를 일본에 수신사로 파견하였다. ③ 어재연 장군이 광성보에서 항전하였다. ④ 박규수의 건의로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. ⑤ 홍경래가 난을 일으켜 정주성 등을 장악하였다.더보기정답 ① * 조선책략의 영향으로 이만손이 영남만인소를 올렸으나 정부는 조미수호통상조약을 맺었다 2. 1차 수신사 - 고종 3. 신미양요- 흥선대원군 4. 임술농민봉기- 철종 5. 홍경래의 난- 순조 오 · 탈자를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. 2020. 12. 6.